선농대제의 역사와 배경
선농대제는 신라 시대부터 시작된 국가적인 제례 행사로, 조선 시대에는 임금이 농사의 신인 신농(神農)을 기리며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는 자리였습니다. 특히 조선 시대에는 왕이 직접 농사를 짓는 모습을 보여주며 백성들에게 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친경(親耕)’ 의식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 의식은 농업을 국가의 핵심 산업으로 삼아 풍작을 기원하고, 백성들과 함께 나눔을 실천하는 상징적인 행사였습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동안 중단되었던 이 전통은 1979년 동대문구 제기동 주민들이 결성한 선농단보존위원회에 의해 복원되었으며, 이후 매년 이어져 왔습니다. 2019년부터는 동대문문화재단이 주최하고 선농단보존위원회가 주관하며, 행사의 규모와 내용이 더욱 풍성해졌습니다.
2025년 제46회 선농대제는 4월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서울 동대문구 선농단역사공원 및 용두공원 일대에서 개최됩니다. 이 행사는 동대문구의 대표적인 문화 축제로 자리 잡았으며, 전통 제례와 현대적인 문화 요소를 결합하여 지역 주민과 관광객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됩니다. 행사의 주제는 여전히 한 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것이며,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문화적 소통의 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주요 일정 및 프로그램
4월 18일 (금): 행사의 서막을 알리는 ‘봄바람 설렁설렁 국악 콘서트’가 전농동 지식의 꽃밭(서울시 시립 도서관 부지)에서 열립니다. 이 콘서트에서는 소리꾼과 전통 국악 공연자들이 출연하여 전통 음악의 깊이와 아름다움을 선사합니다. 이 날은 야간 개방 프로그램도 포함되어 있으며, 선농단역사공원과 선농단역사문화관에서 문화 해설과 복식 체험 등이 진행됩니다.
4월 19일 (토): 본 행사의 하이라이트인 제례가 선농단역사공원에서 펼쳐집니다. 오전 9시부터 시작되는 어가 행렬은 선농단역사공원에서 용두공원까지 이어지며, 도로가 일시적으로 통제되어 화려한 전통 의식을 재현합니다. 이어서 전향례(제사에 쓰이는 향과 축문을 전달하는 의식), 제례봉행, 제례악 연주, 일무(전통 무용) 공연 등이 엄숙하면서도 장엄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됩니다. 제례 후에는 용두공원에서 2,500인분의 설렁탕 나눔 행사가 열리며, 이는 조선 시대 임금이 백성과 함께 고깃국을 나누던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현한 것입니다.
부대 프로그램으로는 어린이 미술대회, 전통차 나눔 및 체험, 청사초롱 만들기, 외국인을 위한 깍두기 만들기, 전통흉배 그리기, 테라리움 제작, 버나 체험, 페이스페인팅 등이 준비되어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도 즐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체험 프로그램은 전통 문화를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특히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은 서울의 문화적 매력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데 기여합니다.
장소 및 접근성
선농대제는 주로 동대문구 제기동에 위치한 선농단역사공원과 용두공원이 주요 무대입니다. 두 장소는 지하철 1호선 제기역이나 6호선 청구역에서 도보로 접근 가능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편리합니다. 행사 기간 동안에는 도로 통제와 교통 상황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사전에 교통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위치와 교통 안내는 동대문문화재단의 공식 웹사이트나 소셜 미디어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선농대제는 단순한 축제가 아니라, 한국의 농경 문화와 조선 시대 왕실 의례의 전통을 이어가는 중요한 문화 유산입니다. 이 행사를 통해 동대문구는 지역의 역사적 정체성을 되새기고, 주민 간의 화합과 지역 활성화를 도모합니다. 또한, 설렁탕 나눔 행사와 같은 프로그램은 공동체 정신을 강조하며, 현대 사회에서 잊히기 쉬운 나눔과 배려의 가치를 환기시킵니다. 동대문구청장 이필형은 매년 초헌관(임금 역할)로 참여하며, 행사의 중요성과 전통 계승 의지를 강조해 왔습니다.
참가 및 문의
선농대제는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는 행사로, 사전 예약 없이 현장에서 즐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체험 프로그램은 인원이 제한될 수 있으니, 행사 당일 일찍 방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추가 정보는 동대문문화재단의 공식 웹사이트( www.ddmac.or.kr)나 인스타그램, 블로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 문의는 02-3295-5567로 가능합니다